KRX 금현물 거래’ 금투자 방법

마지막 업데이트: 2022년 6월 2일 | 0개 댓글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출처 : 키움증권 홈페이지

'부자' 정보

우리나에서 지정한 공식적인 금 거래소가 있습니다. 바로 한국 조폐공사에서 공식적으로 제작한 금을 1g 단위로 거래할 수 있는 ‘KRX’ 거래소입니다. KRX는 지금 여의도에 위치해있으며, 우리가 실제로 보유하고 있는 실물로 이루어진 금을 가지고 가서 직접 거래를 할 수 있습니다.

한국 정부가 KRX 금 거래소를 설립하게 된 배경을 설명하자면 과거에는 공식적인 금 거래 방식이 규정되어있지 않아, 금이 주로 암시장에서 불법 거래의 수단으로 악용되는 일이 많았기 때문입니다. 이에 지난 2014년부터 정부는 KRX 금 거래소와 한국 증권 거래소를 연동하여 금 거래를 증권사를 거쳐서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체계를 마련했습니다.

현재 증권사를 거쳐 진행하면 부가가치세 면제, 양도 및 배당 소득세에 비과세 적용, 금융종합과세 비대상 적용 등의 혜택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직접 문의를 해보는 방법을 추천드립니다. 이것은 정부기관에서 직접 관리하기 때문에 신뢰할 수 있는 금투자 방법 가운데 하나입니다. 그렇다면 KRX 금 현물 투자 방식의 가장 큰 장점은 무엇일까요?

최고의 장점은 바로 ‘세금혜택’이라고 이야기하고 싶습니다. 금도 현물이기 때문에 사실 원칙적으로는 양도소득세를 납부해야 됩니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증권 상태에서 금 현물 거래를 KRX 금현물 거래’ 금투자 방법 하게 되는 경우 이 양도세를 면제해주고 있습니다.

양도소득세와 함께 도 면제가 되는 것이 바로 부가가치세입니다. 금은 고가품으로 간주되기에 원칙적으로는 부가가치세도 내야 하지만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부가가치세를 면제해주고 있지요.

이것은 아직까지 금 현물의 거래량이 활발하지 않기 떄문에 정부 입장에서는 금 현물의 거래량을 높이기 위한 정책을 펴고 있다고 볼 수 있는데, 아직까지는 양도소득세와 부가가치세 모두 내지 않아도 된다는 이점을 누릴 수 있습니다.

KRX 금시장에서는 금이 1g단위로 거래되고 있습니다. 금의 가격은 실시간으로 시장에서 형성되고 있으며, 장내거래 시에는 수수료를 증권사 온라인 수수료가 0.3% 정도이며, 양도소득세와 부가가치세 모두 면제 혜택을 받습니다.

하지만 금 실물 인출시에는 1개당 약 2만 원 정도의 인출 비용이 들어가고, 부가가치세 또한 거래 가격의 10%가 부과됩니다. 금 인출은 증권사의 지점에서 인출 후 수령 가능합니다. 곧바로는 KRX 금현물 거래’ 금투자 방법 수령하는 것은 안되고 2일 정도 기다려야 합니다.

KRX 금현물 투자 방식의 또 다른 장점은 무엇일까요? 바로 투자 방식에 있어 다른 투자보다 신경 써야 할 것들도 적고 투자 자체가 무척 편리하다는 것입니다.

현재 우리나라 대부분의 사람들은 모두 스마트폰을 보유하고 있고, 손쉽고 간편하게 언제 어디서나 가입된 증권사 어플에 접속해서 주식 투자를 할 수 있습니다. KRX 금 현물 거래 서비스도 역시 일반 사람들도 모두 알만한 유명 KRX 금현물 거래’ 금투자 방법 증권사 어플에서 똑같은 방법으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즉, 최초 1회만 증권사에 직접 방문하고나서 그다음부터는 스마트폰으로 직접 주식투자를 하듯 금 투자를 할 수 있게 되는 것이지요. 스마트폰으로 금 투자를 할 때에는 증권거래소 운영 시간에만 할 수 있습니다.

KRX 금현물 거래

1. 금 현물 계좌 개설하기

주식/선물옵션 ->

이렇게 들어가면 간단하게 금현물

2. 금 현물 계좌로 예수금 입금하기

증권거래 계좌에 있는 예수금을

금 현물 계좌로 옮겨야 합니다.

증권거래계좌 예수금이 있다고

금 현물거래를 할 수 있는 게 아닙니다.

증권거래계좌 예수금을

금 현물거래계좌로 옮겨주셔야 합니다.

온라인 업무 ->

당사 계좌 간 입출금 ->

당사 계좌 간 입출금 (0802)

입금계좌에 금 현물 거래 계좌를

이체금액을 입력 해주세요.

3. 금현물 매수 주문하기

출처 : 키움증권 홈페이지

금 현물 관련 화면은 사진상

[ 주식주문 > 금 현물 주문 KRX 금현물 거래’ 금투자 방법 ]

에서 금현물주문종합창을

클릭하면 이렇게 창이 뜹니다.

여기서부터는 주식 거래하듯이

1g 단위 로 금을 사고 파실 수 있습니다.

소액이지만 확인차 3g

출처 : 키움증권 홈페이지

키움증권 금 현물 거래의 특징을 4가지 로 간추려보면

  1. 한국 조폐공사/한국거래소의 품질 및 외형 조건을 만족한 순도 99.99%의 골드바.
  2. 주식과 같이 영웅문(HTS, MTS)을 통해 거래가능하다.
  3. 양도소득세 면제 등의 세금 혜택이 있다.
  4. 거래한 금은 한국 예탁결제원에서 실제로 보관하며, 실물(골드바) 인출 가능하다.(1kg 단위로 실물 인출이 가능하며, 출고수수료 및 부가가치세 발생)

출처 : 키움증권홈페이지

수수료&세금

출처 : 키움증권

세금&수수료 관련 사항입니다.

KRX 금시장에서 매수한 금은 1kg 단위로

실물 인출을 신청할 수 있으며, 인출 시에는

10%의 부가가치세 부과 및 기타 비용이

영웅문 금 현물 거래시 수수료는

0.3%(부가가치세 포함 0.33% )이며,

기타 수수료에 관련된 사항은

키움증권 홈페이지를 참고해주세요.

https://www.kiwoom.com/nkw.evtUserFrame.do?ect=202000252005292359&ckwhere=IC_HP_ing

오늘(2020년 3월 30일)부터

2020년 5월 29일까지 금 현물

10만원 이상 거래고객전원에

모바일로 미국 주식 사는법(상세 설명), 영웅문s KRX 금현물 거래’ 금투자 방법 글로벌로 스타벅스 1주 직접사보았다

모의투자, 군대에서 월급으로 주식투자 등으로 국내 주식 투자는 여러차례 경험 사람은 경제 뉴스 등에 항상 언급되는 S&P500, 나스닥 지수 등을 보고 미국 주식에도 자연스럽게 관심이 생기게 되기 마련이다. 나..

금 현물시장 개설…증권사 통해 일반인 투자 가능

금융위원회는 ‘금 거래 양성화 방안’의 핵심과제로 추진돼온 금 현물시장(브랜드명 : KRX금시장) 개설돼 24일 정식 거래가 시작됐다고 밝혔다.

한국거래소는 24일 부산본사에서 ‘KRX 금시장 개장식’을 열고 본격적인 금 거래를 시작했다. 사진은 금 거래를 알리는 전광판의 모습이다.(사진=저작권자(c)연합뉴스.무단전재-재배포금지)
한국거래소는 24일 부산본사에서 ‘KRX 금시장 개장식’을 열고 본격적인 금 거래를 시작했다. 사진은 금 거래를 알리는 전광판의 모습이다.(사진=저작권자(c)연합뉴스.무단전재-재배포금지)

금 현물시장 운영과 관련해 한국거래소는 시장운영·매매체결·청산을, 한국예탁결제원은 보관·인출을, 한국조폐공사는 품질인증과 검사 등을 담당한다.

8개 증권사와 49개 금 실물사업자(생산업자 4, 수입업자 9, 유통업자 36)가 회원으로 가입해 금 거래에 참여하며, 일반투자자들은 회원증권사(대신증권, 대우증권, 삼성증권, 신한투자증권, 우리투자증권, 키움증권, 한국투자증권, 현대증권)를 통해 금 현물시장을 이용할 수 있게 됐다.

금을 주문하기 위해서는 증권·파생상품계좌와 별도의 일반상품계좌 개설이 필요하며 주문방법은 전자통신, 전화, 문서 등 현행 증권·파생상품과 같다.

다만 당일 결제에 따른 결제대금 성격의 위탁증거금을 금지금 및 결제대금으로 주문전 100% 예탁해야 한다.

거래종목은 순도 99.99%, 중량 1kg 1종목으로 매매·호가수량 단위는 1g이며 호가가격 단위은 10원이다.

다만 실물 임치 및 인출은 1kg 단위로만 가능하다.

매매거래시간은 오전10시~오후 3시며 호가접수시간은 오전 9시~오후 3시다.

매매체결방법은 경쟁매매방식(시가·종가·중단후 재개가격 결정시에는단일가매매 방식, 그 외의 경우에는 접속매매 방식 적용)이며 단일가매매 시간 중 동일 가격에서는 실물사업자 주문이 우선 체결된다.

회원자격은 투자 및 실물수요를 고려해 금융기관(증권·선물사, 은행)과 실물사업자(제·정련, 유통업자 등)로 한정되며, 회원종류는 매매거래 수탁이 가능한 ‘일반회원(증권·선물사)’과 중개업무가 불가한 ‘자기매매회원(은행·실물업자)’ 2가지 유형으로 분류된다.

일반회원으로 참여하는 금융기관은 영업용순자본비율 150% 이상이어야 하며, 실물사업자인 자기매매회원은 최근 사업연도 기준 KRX 금현물 거래’ 금투자 방법 매출액 1억원 이상, 신청일 현재 체납세액이 없어야 참여 가능하다.

거래소 금 현물시장에 참여하는 법인, 개인사업자들에 대해 거래소 이용 실적에 따른 소득공제 혜택 이 부여된다.

또한 장내 거래 금지금에 대한 부가가치세 면세 및 매도금에 대한 매입세액공제 허용된다. 단, 금 현물 인출시에는 부가가치세가 부과된다.

금융위는 “거래소 금 시장을 통해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거래환경이 제공되며 음성적으로 이루어지던 금 거래의 상당부분이 점진적으로 거래소 금 시장에 흡수될 것”이라며 “안정적인 원자재 수급시장의 확보와 금 제품의 신뢰성 제고 등으로 금 산업 발전의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했다.

이어 “소액으로 간편하게 금 실물에 투자하는 것이 가능해짐에 따라 투자자들의 자산운용 폭이 넓어지고, 골드뱅킹 등 금 KRX 금현물 거래’ 금투자 방법 KRX 금현물 거래’ 금투자 방법 관련 금융투자상품의 발전에도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KRX 금현물 거래

[팍스넷뉴스 공도윤 기자] 인플레이션 불안감이 부각되면서 금 가격이 상승하고 있다. 인플레이션으로 화폐 가치가 떨어져도 금값은 유지된다는 생각에 금 투자는 전통적인 안전자산 투자로 취급한다. IT기술 발전 속 '디지털 금'이라 불리는 비트코인이 라이벌로 등장하며 지난해 금에 대한 관심이 다소 주춤하기도 했지만 올해 다시 급등세를 보이고 있다. 해외 주요 외신은 JP모건과 같은 미국의 기관투자가가 비트코인 선물과 관련 펀드에서 돈을 인출해 금으로 이동시키고 있다고 보도하기도 했다.

(자료=한국금거래소)

한국금거래소에 따르면 최근 3개월 국내 금 가격은 27만2000원에서 29만3000원으로 국제 금 가격은 1718달러에서 1883달러로 각각 7.4%, 9.6% 올랐다.

치솟는 금 가격에 일반투자자들도 금 투자로 고개를 돌리고 있다. 주식이나 인플레이션 헤지 차원에서 안전자산이라 불리는 금을 투자 포트폴리오에 넣겠다는 계획이다. 하지만 일부 전문가들은 매매 가격간 스프레드(가격차이)가 커 일반 개인투자자에게는 맞지 않는 투자라고 말한다.

금 투자의 접근은 다른 금융상품보다 쉽다. 이 점은 개인투자자가 쉽게 금 투자에 나서는 이유기도 하다. 가장 먼저 떠올리는 투자법은 시중에 있는 금은방이나 은행에서 금을 구입해 보유하고 가격이 오르면 파는 것이다. 보유세나 양도소득세가 없어 매력적이다.

문제는 가격이다. 구입가와 판매가의 가격 차이가 크다. 한국금거래소에서 고지한 가격과 실제 시중에서 거래하는 가격에 차이가 난다. 싸게 사서 비싸게 팔고 싶지만 소매를 거래하는 개인은 시장에서 생각했던 가격보다 비싸게 사고, 싸게 팔아 시세차익을 온전히 챙기기 힘들다.

시세차익에 대한 세금은 없지만 부가가치세 10%에 골드바 구입시 제작비와 판매수수료 5%를 지불해야 한다는 점도 수익률을 낮추는 원인이다. 투자수익률로 따지면 마이너스 15%에서 투자를 시작하는 셈이다. 다만 동일하게 실물을 거래하는 방식이지만 온라인으로 거래하면 좀더 유리한 가격에서 거래가 가능하다. 방법은 금통장이나 KRX금시장을 이용하는 것이다.

은행에서 판매하는 골드뱅크에 가입하면 금을 0.01g, 0.5g, 1g 단위로 구입할 수 있다. 수수료는 통장거래 때는 매매기준율에 1~2%, 실물거래 때는 매매기준율에 5%를 부과한다. 골드바 매매보다 수수료가 저렴하다. 현금 인출과 금 현물 인출이 가능한데, 금 현물 인출 때는 투자자가 부가가치세 10%를 납부해야 한다. 또 매매차익에 15.4%의 배당소득세가 붙는다.

KRX금시장 거래는 주식처럼 증권사 홈트레이딩시스템(HTS)이나 모바일트레이딩시스템(MTS)으로 사고파는 방식이다. 1g 단위로 거래할 수 있고, 5만원 내외 소액 투자가 가능하다. 거래 수수료는 0.6%로 금 투자 방식 중 가장 저렴하다. 매도·매수자가 동시에 거래에 참여해 공정하고 투명한 시장 가격을 형성한다.

ETF처럼 유동성공급자(LP)가 있어 자금 회수가 쉽고 스프레드 비율이 좁아 국제 금 가격에 가까운 가격으로 거래 가능하다. 또 투자수익에 대해 유일하게 비과세, 배당소득세를 면제한다. 실물 인출시 10% 부가가치세는 동일하다.

실물 거래는 아니지만 금융투자상품을 이용하는 방법도 있다. 전문가들은 개인의 경우 실물 거래보다는 금 선물이나 금 관련 주식에 투자하는 펀드, ETF(상장지수펀드), ETN(상장지수증권)을 선택하는 것이 수익률 관리나 현금화 면에서 유리하다고 말한다.

금 펀드로는 신한 골드증권투자신탁, IBK골드마이닝증권자투자신탁, 블랙록월드골드증권자투자신탁 등이 있다. 이들 펀드는 금광업 주식이나 금, 은, 다이아몬드와 같은 귀금속 관련 우량 글로벌 기업에 투자한다. 최근 3개월 수익률은 약 11~14%, 1년 수익률은 약 5~6%, 3년 수익률은 약 59~60%로 파악된다.

금 시세에 따라 좀더 적극적인 투자가 가능한 것은 ETF와 ETN이다. ETF와 ETN 역시 각 상품별로 수익률 편차가 큰 만큼 KRX 금현물 거래’ 금투자 방법 금가격 흐름, 추종지수, 추종지수와의 괴리, 거래량 등을 고려해 선택해야 한다.

ETF로는 KINDEX 골드선물 레버리지(합성 H), KODEX 골드선물(H), KODEX 골드선물인버스(H), TIGER 골드선물(H), TIGER 금은선물(H) 등이 있다. 이들 ETF는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의 금 선물 가격(S&P WCI GOLD Excess Return Index)을 기초자산으로 한다.

ETN상품으로는 TRUE 금 선물 ETN, TRUE 인버스 금 선물 ETN, 대신 골드 커버드콜 타겟 5%인컴 ETN(H), 미래에셋 KRX금현물 Auto-KO-C 2312-01 ETN, 삼성 KRX 금현물 ETN, 삼성 레버리지 금 선물 ETN(H), 삼성 인버스 2X 금 선물 ETN(H), 신한 금 선물 ETN(H), 신한 레버리지 금 선물 ETN, 신한 인버스 2X 금 선물 ETN 등이 있다. 이들 ETN은 선물지표인 S&P GSCI Gold 2X Leveraged TR Index, DJCI 2X Leverage Gold TR, KRX 금현물지수 등을 기초자산으로 한다.

특히 ETN은 손실제한형으로 발행해 퇴직연금 계좌에서도 거래가 가능하다. 퇴직연금계좌를 통해 거래하면 연말정산 시 세액공제가 가능하고 연금수령 시까지 과세를 이연하는 효과가 있어 절세 측면에서 유리하다.

자산운용업계 전문가는 "금 가격은 경기, 금리, 미국 달러화 등 여러 변수에 영향을 받는다"며 "투자 포트폴리오 내 일정 비중을 금이나 원자재 등에 투자해 조정하고 있지만 단순히 수익률을 쫓아 매매하는 것은 매력적이지 않을 것"이라고 조언했다.

더불어 최근의 금 가격 추이를 보면 주식과 오히려 같은 방향으로 움직이고 있어 금이 더 이상 인플레이션 헷지로서 안전자산의 기능을 효과적으로 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도 있다.


0 개 댓글

답장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