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wap, 현금흐름을 상호 교환하다

마지막 업데이트: 2022년 4월 20일 | 0개 댓글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머니머신팩토리

스왑 뜻

선물 옵션과 같은 파생상품의 일종이다.
대규모 자금거래에 Swap, 현금흐름을 상호 교환하다 적용되는 룰이라 개인이 직접 거래에 참여할 일이 없기 때문에 생소할 수도 있다.
스왑의 영어단어인 'Swap'은 사전적 용어로 '무언가를 교환하다'라는 의미를 갖는다.
이처럼 금융시장에서의 스왑은 상호간의 '현금흐름'을 교환하기로 계약하는 것을 의미한다.
방식에는 크게 두가지가 있다.

1. 금리스왑

금리로 인해 발생하는 이자부담은 대표적인 '현금흐름'이다. 그리고 이 금리라는 것은 시간이 흐르며 계속 바뀐다. 오를지 내릴지에 대한 결정은 FOMC에서 하지만 경제상황이 어떻게 흘러갈지는 변수가 워낙 많기에 오직 신만이 알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금리가 오를 것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은 금리가 오를 때 유리해지는 베팅을 하고, 금리가 내릴 것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은 내릴 때 유리해지는 베팅을 하면 된다. 그리고 그 둘이 만나서 '금리스왑'을 체결한다.
변동금리로 돈을 빌린 A는 금리가 오르면 더 많은 이자부담을 해야 한다. 그리고 A는 금리가 오를 것이라는 추측을 하고 있다. 그런데, 어디선가 금리가 내릴 것이라는 추측을 하는 B가 등장한다. A와 B가 만나서 이야기를 나눈다. B는 금리가 내릴 것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A의 이자를 대신 내는 조건으로 자신에게 고정적으로 돈을 달라고 A에게 요구한다. 그렇게 하면 괜찮은 현금흐름이 나올 것이라고 생각한다. A는 금리가 오를 것이기 때문에 현시점에서 금리를 고정시키는 것이 유리하다고 판단한다. B는 A의 이자를 내주기로 한다.
이것이 바로 금리스왑이다.

2. 통화스왑

금리스왑에 더하여 통화가 달라지는 경우에 적용된다. 즉, 통화가 다른 두 국가간에 서로 합을 맞추고 각자의 이자부담을 해주기로 한 것이다. 한국에 임대공장을 지닌 A가 미국에 있는 B에게 달러 현금흐름을 약속하고 프리미엄을 지급하는 것이 이런 사례이다.

금리스왑이란 무엇인가?

통화 거래 세계에서 진행되는 대부분의 일과 마찬가지로 거래자들은 어떤 형태의 이익을 보장하기 위해 전략과 예지력에 Swap, 현금흐름을 상호 교환하다 의존해야 합니다. 금리스왑(Interest rate swap, IRS)은 거래자가 통화쌍을 처리할 Swap, 현금흐름을 상호 교환하다 때 통찰력과 독창성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외환의 또 다른 측면입니다.

금리스왑은 상당히 간단한 개념입니다. 이것은 미래의 한 흐름이 다른 흐름으로 교환되는 선도계약입니다. 스왑은 지정된 금액을 기준으로 하므로 위험을 최소화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스왑의 금리는 고정되거나 변동될 수 있습니다. 이는 금리 변동에 대한 노출을 최소화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슬프게도 수행하는 거래 유형에 관계없이 통화와 관련하여 변동은 표준의 일부라는 것을 항상 기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증권거래소에 상장되지 않은 회사를 위해 거래되는 증권을 의미하는 거의 모든 금리가 장외 거래되기 때문에 계약은 항상 두 당사자 사이에서 특정 사양에 따라 이루어집니다. 금리스왑은 다양한 방법으로 맞춤화할 수도 있습니다.

금리스왑을 선택하는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특정 금리로 돈을 빌릴 수 있지만 다른 유형의 금리로 빌리는 것을 선호하여 스왑을 결정하는 것입니다.

금리스왑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알아 보려면 회사, 중개인 및 거래자가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유형의 금리스왑에 대해 약간 이해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금리스왑을 할 때 사용되는 3 가지 인기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금리스왑의 유형

변동에서 변동으로 (Float to Float)

이러한 스왑은 변동률 지수를 기반으로 하므로 여기서 시작하겠습니다. 변동금리는 시장을 위아래로 움직일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거나 운영되는 지수를 따라 움직일 수 있는 이자율입니다. 정의상 이러한 유형의 금리는 융통성이 있어 선호하는 사람들에게 조정 가능하고 매력적입니다.

변동 대 변동을 통해 회사는 이 스왑을 사용하여 지불하게 될 변동 비율 지수의 유형을 변경합니다. 기업은 상황에 더 적합한 요율로 지불 흐름을 조정할 수 있습니다.

변동에서 고정으로(Floating to Fixed)

이러한 유형의 스왑을 사용하면 말하자면 두 세계의 장점을 모두 누릴 수 있습니다. 고정금리 대출을 받을 수 없는 회사를 위해 만들어졌으며 이 옵션을 사용하면 변동금리로 돈을 빌린 다음 고정금리를 입력하기 위해 스왑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하면 대출 상환날짜와 함께 고정금리 재설정이 미러링됩니다. 그런 다음 고정금리가 Swap, 현금흐름을 상호 교환하다 차입금리(Borrowing Rate)가 됩니다.

귀하는 관심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 ECN 중개인 대 STP 중개인

고정에서 변동으로(Fixed to Floating)

회사가 투자자에게 발행할 수 있는 채권은 고정금리로만 발행할 수 있지만 회사는 현금흐름이 변동금리의 경우 더 효과적일 것이라고 결정합니다. 거래가 성사되면 회사는 채권을 고정금리에서 변동금리로 전환하여 요구 사항에 맞출 수 있습니다. 스왑은 적절하게 재구성될 것입니다.

금리 지불은 일반적으로 반기 단위로 수행되는 교환과 함께 분기 단위로 계산됩니다. 필요할 때마다 스왑을 요청하고 구성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통화가 다른 나라에서 왔기 때문에 금리 지불은 상계되지 않을 것입니다.

통화스왑 대 금리스왑

거래자와 회사는 종종 두 가지를 혼합하기 때문에 혼란이 발생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스왑은 한 당사자가 다른 당사자와 현금흐름을 교환하는 데 동의하는 계약으로, 둘 다 이익을 얻을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합니다. 금리스왑을 사용하면 현금흐름이 두 가지 매우 다른 금리에서 발생하는 반면 통화스왑에서는 당사자의 현금흐름이 서로 다른 통화에서 발생하여 통화 변동으로부터 서로를 보호합니다.

기본적으로 금리스왑은 하나의 통화로만 작동하는 반면 통화스왑은 분명히 두 개의 통화로 작동합니다.

금리스왑을 통해 기업은 어떤 이점을 얻을 수 있는가?

회사가 금리스왑을 시도하고 약정하려고 노력한다면 당연하게도 이익을 얻을 때만 그렇게 할 것입니다.

통화스왑과 금리스왑은 매우 다르지만 같은 방식으로 회사에 이익이 됩니다. 이러한 스왑을 통해 기업은 글로벌 시장의 안팎을 유리하게 탐색할 수 있는 더 나은 위치에 설 수 있게 됩니다.

스왑은 또한 기업이 금리노출(interest rate exposure)로부터 스스로를 보호할 수 있는 훌륭한 방법이며, 이는 불확실성과 그에 따른 현금흐름과 관련된 위험을 줄이고 미래에 어떻게 작동하거나 사용할 수 있는지에 도움이 됩니다.

스왑을 할 때 회사는 스왑에 비추어 유리할 수 있는 현재와 미래의 시장 조건 모두에서 이익을 얻을 수 있도록 부채 상태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즉 부채를 줄일 수 있습니다.

대출 및 외환 거래와 관련된 모든 것과 마찬가지로 귀하가 내리는 결정과 관련된 위험 요소가 항상 존재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재정적으로 가치 있는 결정을 내리기 위해 올바른 전략과 올바른 정보를 적절히 준비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스왑을 고려하는 Swap, 현금흐름을 상호 교환하다 사람들이 직면하게 될 가장 큰 위험은 관련된 상대방이 거래에서 자신의 몫을 충족하지 못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기업은 누구와 거래를 하고 있는지 신중하게 고려해야 합니다.

미래에셋 TIGERETF

미래에셋자산운용은 미국 ETF 운용 자회사 ‘Global X(글로벌엑스)’가 6일 뉴욕증권거래소에미국 금리 관련 ETF인
‘Global X Interest Rate Hedge ETF’와 ‘Global X Interest Rate Volatility & Inflation Hedge ETF’를 상장했다고 7일 밝혔다.

Global X Interest Rate Hedge ETF(IRHG)는 장기금리가 상승하거나 금리 변동성이 커지는 경우
수익이 발생하는 ETF로 미국채 선물 혹은 미국채에 투자하는 ETF에 대한 지불 스왑션을 매수한다.

스왑션(swaption)은 파생상품으로, 기초 자산이 금리 스왑(swap)인 옵션(option)이다.
금리 스왑은 고정금리와 변동금리에서 발생하는 현금 흐름을 교환하는 파생상품으로,
스왑션 매수자는 고정금리를 지불하고 변동금리를 받을 수 있는 권리가 있어 금리가 상승하면 수익이 발생한다.

Global X Interest Rate Volatility & Inflation Hedge ETF(IRVH)는
플레이션 상승, 장단기 금리차가 벌어지는 경우 수익이 발생하는 ETF로, 미국 물가연동채권과 지불 일드커브 스프레드 옵션을 매수한다.

미국 물가연동채권(Treasury Inflation Protected Securities, TIPS)은 국채의 한 종류다.
채권 이자율은 고정돼 있지만 소비자물가지수(CPI) 수준에 따라 원금이 조정돼 물가가 상승하면(인플레이션) 수익률도 올라간다.

지불 일드커브 스프레드 옵션(Yield Curve Spread Options)은 장단기 금리차가 커질수록 수익이 발생하는 옵션으로,
Global X Interest Rate Volatility & Inflation Hedge ETF는 2년 및 10년물 국채 금리차를 이용하는 스프레드 옵션을 매수한다.

스왑의 정의

설명 통화스왑이란 외환스왑과 마찬가지로 거래당사자간에 서로 다른 통화를 교환하고 일정기간 후 원금을 재 교환하기로 약정하는 거래를 말한다. 통화스왑도 자금 대차거래라는 점에서는 외환스왑과 비슷하나 이자지급 방법과 계약기간에 차이가 있다. 외환스왑은 주로 1년 이하의 단기자금 조달 및 환리스크 헤지 수단으로 이용되는 반면 통화스왑은 Swap, 현금흐름을 상호 교환하다 주로 1년 이상의 중장기 환리스크 및 금리리스크 헤지 수단으로 이용된다. 이자지급 방법에 있어서도 외환스왑은 스왑기간 중 해당통화에 대해 이자를 교환하지 않고 만기시점에 양 통화 간 금리차이를 반영한 환율(계약시점의 선물환율)로 원금을 재 교환하나, 통화스왑은 계약기간 Swap, 현금흐름을 상호 교환하다 중 이자(매 6개월 또는 매 3개월)를 교환하고 만기시점에 처음 원금을 교환했을 때 적용했던 환율로 다시 원금을 교환한다. 통화스왑의 거래과정을 예를 들어 살펴보면 A은행이 B은행과 현물환율 1,200원에 미 달러화 1천만 달러를 지급하고 원화를 수취한 후 만기시점에 원금을 재 교환하는 통화스왑계약을 하였다고 하자. 거래시점에 A은행은 B은행에 1천만 달러를 지급하는 대가로 원화 120억원(=1,200원×10,000,000달러)을 수취한다. 이후 계약기간 중 원화금리를 지급하고 미 달러화 금리를 수취하게 되며 만기시점에 A은행은 B은행으로부터 1천만 달러를 돌려받고 원화 120억원을 상환함으로써 거래가 종료된다. 통화스왑은 보유외화자산의 수익률을 높이거나, Swap, 현금흐름을 상호 교환하다 외화자금 조달 시 차입자가 각각 유리한 국제금융시장에서 기채한 후 필요한 통화로 교환함으로써 차입비용을 절감하거나, 장기차입에 따른 환율 및 금리변동 리스크를 회피하는 등의 목적으로 이용된다.


0 개 댓글

답장을 남겨주세요